세계는 당신을 원해요

헨드릭 황 전문위원 승인 2019.07.15 00:00 | 최종 수정 2020.03.16 14:44 의견 0
 

Are you satisfied with your work? Did you find your dream job? Do you feel fairly remunerated? Do you have enough holidays? Are these unnecessary questions? Probably not.

당신은 지금하는 일에 만족하세요? 현재 꿈에 그리던 직업을 찾았나요? 그리고 보수는 적당하다고 생각하세요? 휴가는 자주 가시나요? 이런 질문들이 식상하나요? 그렇지만은 아닐 거에요.

What you know about yourself is that you studied hard and did everything right. You faithfully serve the system. You feel your high potential. You are smart and you want to do something with your hands and your knowledge. You want you and your family to thrive in a good and supportive environment. Getting a holiday should not be a forbidden fantasy. You want to determine your working hours by yourself. When you have finished your day, you want to go home. Now another question arises: Why do you work in Korea?

무언가를 이루기 위해서는 열심히 노력하고 주어진 일들을 해내야 합니다. 현 시대의 시스템에 순응해야 하고요.  직장인들은 나름의 욕구를 가지고 있습니다. 가족들과 좋은 환경에서 생활하길 바라며 충분한 휴가를 얻길 원해요. 그러기 위해 근무시간도 스스로 정하길 원합니다. 그런데 한가지 의문이 생깁니다. 왜 꼭 한국에서 일해야 하나요?

This question is being asked more and more, especially among young Koreans. There are fewer and fewer who are ready to kick the hamster wheel to nowhere until they get sick, are sorted out by age, or just die from over stress. Because in the end, they understand, nobody thanks them for sacrificing themselves, their lifetime and their quality of life.

상당수의 한국 젊은이들이 이 질문에 대해서 고민하고 있습니다. 나이에 따라서 정리되고 스트레스로 인해 병에 걸리는 햄스터의 쳇바퀴 같은 직장생활을 원하는 젊은이들은 많지 않습니다. 그렇게 한들 아무도 그들의 희생에 감사하지 않기 때문이에요.

So why not thinking further, be more global, be open. Go where work is worthwhile, where skilled workers are desperately sought. Yes, one's own home is a valuable place, but is not home in the first place a location for personal wellbeing?

좀 더 직장에 대해서 생각하고 좀 더 세계적이 되고 개방적이 되는 건 어떨까 합니다. 가치있게 일할 수 있고 그 가치를 인정해 주는 직장이 있다면 자국을 고수할 이유가 있을까요? 

Today, Korea has a highly educated elite, skilled workers, quick thinkers and fast-track workers. The sincerity with which Koreans go to the daily work corresponds to old German virtues and even surpasses them. But there is also a lack of free positions in Korea. That's why Korean companies are able to squeeze the last out of their people. Completely ignoring that these people need a balance to fulfill themselves as well.

오늘날 한국은 고학력자, 숙련공들이 많습니다. 한국인들의 성실성은 어느 측면에서는 독일인을 능가합니다. 하지만 한국에는 자유롭게 일할 수 있는 일자리가 부족합니다. 일자리 부족현상은 기업들로 하여금 일을 더 시킬 수 있는 구실이 되기도 합니다. 따라서 해당 기업에서 일하면 워라벨은 기대하기 힘들죠.

An industrialized country like Germany, on the other hand, has been suffering for years from an acute shortage of skilled workers. There is a shortage of doctors, programmers, nurses, teachers, engineers, craftsmen. The German medium size companies, the engine of German economy no longer finds trainees. The young trainees are missing in many sectors. This has a negative impact on growth and thus on the overall economic power. In Germany efforts are done to recruit workers from other European countries. So far, with some success, especially from Southern Europe and Eastern Europe are young graduates or skilled workers. However, these groups usually do not have the same qualifications as Korean professionals would have.

산업화된 독일은 수 년 동안 극심한 전문가 부족현상이 있었습니다. 프로그래머, 간호사,교사,엔지니어,장인 등의 젊은 전문인력은 자국 내에서 찾기 힘들었습니다. 이러한 현상은 경제력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쳤습니다. 결국 다른 유럽 국가의 전문인력을 모집했고 남유럽과 동유럽의 젊은이들이 성공적으로 안착했습니다.

There has been a wave of skilled workers from Korea to Germany. That was in the 60s. Highly qualified professionals, often with a university degree, worked as miners and nurses. With the multiple money they earned under admittedly harsh conditions, they could support their families in their homeland. They contributed significantly to the growing wealth in their home country Korea.

과거 60 년대에 한국의 높은 학력의 전문가들이 독일에서 간호사 및 광부로 일했습니다. 인정사정 없는 가혹한 조건에서 번 돈으로 고국의 가족들을 부양했고 한국의 부도 증대시켰습니다.

Circumstances in Korea have changed today. Korea is prosperous and one of the leading industrial nations in the world. The circumstances in Germany have also changed. Today, Germany needs the elites to accompany the continuing growth.

하지만 오늘날 한국은 상황이 바뀌었습니다. 세계의 주요한 산업국이 되었습니다. 하지만 지속적인 성장을 위해서는 동반국이 필요합니다. 그 중의 하나가 독일입니다.

Gender wage gap_2017

Did you know that the pay gap between men and women is not as different in any other country as it is in Korea? In comparison to their male colleagues, women are paid a lot less for the same job. That can make up to almost 35% difference. That's a world record in the negative. Koreans do more unpaid overtime than most other colleagues in the world. The situation in vacant positions is highly competitive. Holidays for employees are so few that it is almost impossible to travel, unless you stay in your own country or in the Asian neighborhood. And while raising the minimum wage in Germany does not have a negative impact on the labor market, it behaves differently in Korea, where there are many micro-entrepreneurs in which the wage increase depresses profits and, in the end, jobs disappear.

한국은 다른 나라와 비교했을 때, 남녀간의 임금격차가 큼니다. 전체적으로 거의 35% 정도 차이가 납니다. 또한 세계의 대부분의 나라보다 무급 초과 근무를 많이 합니다. 직원들의 휴일은 너무 작고 장기 해외여행은 거의 불가능합니다. 그리고 독일에서는 최저임금을 올리는 것이 노동시장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지만 한국에서 임금인상은 기업이익을 줄이고 일자리가 줄어든다고 생각하는 기업인들이 많습니다.

Global Employment rate

Here are some facts from the German labor market:

- The unemployment rate is currently 5.1, which is below the EU average. This tendency is falling. Korea 3.1%, and rising.

- The minimum wage by law currently stands at € 9.19 per hour. From 2020 at 9.35 euros.

- The working week 38-40 hours.

- The minimum legal entitlement for a 5-day holiday is at least 20 days per year.

- Overtime is paid or converted into vacation.

- Women in pregnancy enjoy protection against dismissal and can return to work after parental leave.

- During parental leave, they receive 60% of their salary.

- Periods of illness are paid in full.

다음은 독일 노동시장의 현황들입니다.

  • 실업률은 현재 5.1% 로 EU 평균보다 낮고 떨어지고 있는 추세입니다. 한국은 3.1% 상승했습니다.
  • 법적인 최저임금은 현재 시간당 9.19 유로이고 2020 년 9.35 유로가 됩니다.
  • 주당 근무시간은 38시간에서 40 시간 수준입니다.
  • 5 일제 근무를 기준으로 최소 법적 휴가는 20 일이다.
  • 임신한 여성들은 해고에 대해서 보호 받을 수 있고, 육아휴직 후 업무에 복귀할 수 있다.
  • 육아휴직 기간에는 월급의 60%를 받는다.
  • 아픈 기간 동안은 급여가 전액 보장된다.

So how do you get from Korea to Germany and how does it work with the application? For most of the Koreans, it is precisely this leap that is not easy.

Anyone who has studied in Germany and speaks the language already has it easier. But who goes the direct way needs a certain preparation. The best first places to get ready in Korea are the Goethe Institute for the Language, or various private language schools or private teachers. It is important here to orientate oneself to the language certificates required for the job market, for example the Goethe certificate or the TELC certificate.

Another contact point is the German Korean Chamber of Commerce, the German Embassy for visa issues, as well as the Central Foreign and Specialized Placement Service (ZAV) of the German Federal Employment Agency.

그렇다면 독일로 어떻게 갈 수 있을까요? 대부분의 한국인들에게 쉽지 않은 선택입니다. 아마도 독일에서 공부하며 독일어를 할 수 있는 사람만이 가능할거라 생각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가고자 한다면 준비하면 됩니다. 한국에서 준비하기 좋은 곳은 주한독일문화원 또는 다양한 사립학교 및 개인교사입니다. 이를 통해서 괴테 인증서나 TELC 인증서 같은 어학인증을 받을 수 있습니다. 또 다른 방법은 독일 대한상공회의소, 독일대사관과 독일 연방 고용청에서 도움을 받을 수 있습니다.

 This last connects professionals to German companies. If you already have work experience and good German language skills, you can also contact specialized recruiters or headhunters. Simply enter the industry keyword and the word Headhunter into the search engine. To apply in Germany is uncomplicated. Either for internships or regular positions. Important for German companies are not only the necessary specialist knowledge but also the so-called soft skills such as good teamplay and communication skills.

독일 고용청은 전문가들을 독일회사와 연결시켜줍니다. 당신이 이미 좋은 경력과 독일어 실력이 있다면 전문 채용담당자나 헤드헌터에게 연락하면 됩니다. 독일기업에 지원하는 것은 그리 복잡하지 않습니다. 인턴쉽이든 정규직이든 독일 기업에서 중요하게 생각하는 것은 전문지식 뿐 아니라 팀플레이와 커뮤니케이션 기술 등의 소프트 스킬입니다.

The cultural roots in a place like Korea are strong, especially within the families, yet the globalization process is in full development and can therefore be a normal part of a modern life. While the number of overseas Chinese is steadily increasing, many Koreans are still trying to find happiness in their own country. However, what is striking here is that Koreans, once they have made the leap into the foreign, quickly establish contacts and friendships, while Chinese workers remain strong in their community.

한국은 아직 가족주의적 문화의 뿌리가 깊지만 글로벌화가 가속되기 때문에 쉽게 극복할 수 있습니다. 해외에는 중국인들의 수가 꾸준히 증가하는 반면에 한국인은 여전히 자국 안에서 행복을 찾으려고 애쓰고 있습니다.

A proverb says: Even the longest way begins with a first step. With this in mind, I wish that many Koreans dare to make their way to Germany and that German companies open their doors wide for the valuable new employees.

옛 속담에 이런 말이 있습니다. “가장 긴 길이라도 첫 걸음부터 시작한다.” 이러한 점을 염두해 두고 많은 한국 젊은이들이 독일로 진출하고 독일 기업들은 값진 신입사원을 위해 활짝 문을 열었으면 합니다.

글ㅣ헨드릭 황, 칼럼니스트
번역ㅣ이윤숙 기자

<필자 소개>
남아프리카공화국에서 태어나 독일에서 성장한 뒤, 이탈리아에서 패션 브랜딩 전문가로 일했다. 이후 한국에 정착해 연세대 의류환경 방문교수로 일하고 있다. 패션 산업을 중심으로 다양한 기업들 대상의 브랜드&마케팅 컨설팅과 크로스 컬쳐 트레이닝 경험을 갖고있다. 지난 20여 년 동안 한국 및 한국문화에 꾸준한 관심을 갖고 관련 경험과 네트워크를 쌓아오고 있다.

 

■외부 기고는 본지의 편집방향과 다를 수 있습니다. 기고문은 원필자의 취지를 최대한 살리기 위해 가급적 원문 그대로 게재함을 알려드립니다. <편집자주>

저작권자 ⓒ 머스트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