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는 숙고보다 행동이 우선이다.

How Corona puts the action before thinking.

헨드릭황 전문위원 승인 2020.12.13 18:56 | 최종 수정 2020.12.13 23:34 의견 0

Photo credit by Erik Mclean Flatten the Curve

How Corona puts the action before thinking.

If we want to know which countries in this world the future belongs to, then there is a very simple indicator. A test procedure that reveals whether a country is able to act in a coordinated manner in a short time if the need demands it. A country that reacts quickly and in a united way. A country in which technologies are used consistently for the benefit of all and by all. The test procedure I'm talking about is called pandemic control. The test medium is Covid19.

이 세상에서 미래가 있는 국가가 궁금하다면 매우 간단한 확인지표가 있습니다. 필요한 상황에서 단기간에 조정된 방식으로 행동할 수 있는가로 측정할 수 있습니다.

즉 미래가 있는 국가는 신속하고 단합된 방식으로 대응하는 국가입니다. 모두의 이익을 위해서 지속적으로 기술을 사용하는 국가입니다. 제가 말씀드리는 테스트는 유행병 통제입니다. 그리고 테스트 매체는 'covid19'입니다.

One of the most industrially developed countries in Europe does not belong to these countries of the future: Germany. We can even say that Europe is not one of them. However, the difference is that other European countries do not always want or are unable to give the impression that everything is in order with them.

유럽에서 가장 산업 선진국 중 하나인 독일은 미래 국가에 속하지 않습니다. 우리는 유럽이 그런 나라 중의 하나가 아니라고 말할 수 있지만 차이점은 더 이상 유럽 국가들은 모든 것이 정상적이라는 인상을 원하지만 제공 할 수 없다는 것입니다.

Admittedly, I still love how the German automotive industry combines the beauty of its vehicles with high quality and a fantastic driving experience. But the German automotive industry is also being phased out and Asian manufacturers are moving ever closer to the threshold of the most advanced innovations.

물론 저는 독일 자동차 산업이 차체의 아름다움과 고품질 및 환상적인 운전 경험을 결합하는 방식을 여전히 좋아합니다. 그러나 독일 자동차 산업도 단계적으로 약화되고 아시아 제조업체는 가장 진보된 혁신의 문턱에 점점 더 가까워지고 있습니다.

They are even in the fast lane, which is particularly evident in the area of ​​alternative engine technology. Anyway, I don't want to talk about cars today, but about the terrible little virus that has kept the world in suspense for a year, puts the economic systems through their paces and will trigger whole waves of bankruptcies. Especially with small and medium-sized companies.

아시아 제조사들은 선두에 있으며, 이는 특히 대체 엔진 기술 분야에서 분명합니다. 어쨌든, 오늘은 자동차에 대해 이야기하고 싶지 않지만, 1 년 동안 세계를 긴장 상태에 빠뜨린 끔찍한 작은 바이러스는 경제 시스템 속도를 늦추고 파산의 물결을 일으킬 것입니다. 특히 중소기업의 경우에는요.

One looks with amazement from west to east, from Germany to Asia, and realizes that Asians deal with the pandemic very differently than Europeans in general and Germans in particular. In Germany it was noticed that Korea played a special role in this. Korea because, unlike China, it is not a one-man dictatorship, but a democracy.

서쪽에서 동쪽으로, 독일에서 아시아로 한가지 놀라운 점은 아시아인이 일반적으로 유럽인, 특히 독일인과 매우 다르게 대유행을 다룬다는 것이다. 독일에서는 한국이 이점에서 특별한 역할을 한다는 것을 알게 되었습니다. 한국은 중국과 달리 1인 독재가 아니라 민주주의이기 때문입니다.

The Chinese have built up the total surveillance state in the last few years, which leaves no more gaps for private preferences. The Chinese state apparatus can look back on a grateful people, because most Han Chinese feel safe and secure in this total control and surveillance.

중국은 지난 몇 년간 완전한 감시 상태를 구축해 왔습니다. 따라서 개인의 취향에 차이가 별로 없습니다. 대부분 한족들이 전체 관리 및 모니터링에서 안전하고 안심하고 있다고 느끼고 있기 때문에 중국의 국가기구를 감사히 여기는 사람들로 볼 수 있습니다.

In Korea this has to be viewed in a more differentiated way. Korea is taking a well-balanced path between collecting data on its inhabitants and the free development of its economy and cultural life. While Germany is in the agony of a second corona wave, which is associated with a further lock down, Korea was able to delay the outbreak significantly.

한국에서는 보다 차별화된 방법으로 볼 필요가 있습니다. 한국은 주민에 대한 데이터의 수집과 경제 및 문화 생활의 자유로운 발전 사이에서 균형의 길을 걷고 있습니다. 독일은 새로운 봉쇄에 대한 제 2의 코로나 파도에 시달리고 있지만 한국은 발생을 크게 늦출 수 있었습니다.

While almost 1.2 million people have been infected in Germany since the beginning of the year, with 19,000 deaths, Korea has only 38,000 infected people with almost 600 deaths.

In comparison, Germany has around 80 million inhabitants, South Korea just under 50 million. In addition, there are almost 20 million people in the greater Seoul area, densely packed.

독일에서는 연초부터 약 120만명이 감염, 19,000명이 사망하고 있는데, 한국에서는 38,000명이 감염 돼 600여명이 사망하고 있습니다.

그에 비해, 독일의 인구는 약 8000만명, 한국의 인구는 5000만 명 미만입니다. 또한 수도권에는 약 2,000만명이 밀집해 있습니다.

The difference in the number of inhabitants therefore does not explain how the difference in the number of infections results. Something else explains it all the better. It's the dealing with pandemics. While world conspiracies allegedly connected with the spread of the virus are being discussed in Germany, Korea is rolling out a finely tuned emergency plan and everyone is participating.

따라서 주민수의 차이는 감염수의 차이가 어떻게 발생하는지 충분한 설명을 하지 않습니다. 다른 무언가가 그것을 잘 설명합니다. 그것은 ‘팬데빅’에 대한 대처입니다. 독일에서는 바이러스의 확산에 관련된 세계적인 음모론이 논의되고 있는 반면, 한국은 치밀하게 조정된 비상 계획을 전개하고 있으며, 전원이 참가하고 있습니다.

Of course, roll calls are also needed in Korea, because it is not as if wearing a mask all the time is pleasant. Nevertheless, it can be seen what the price of complete individualization of Western societies is, the perceived well-being of the individual is above the actual well-being of a society.

물론 항상 마스크를 쓰고 있는 것이 즐거운 일이 아니기 때문에 한국에서도 조사 및 연구가 필요합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서구 사회의 완전한 개별화의 대가가 무엇인지를 볼 수 있습니다 개인의 지각된 행복은 사회의 실제 행복을 앞서고 있습니다.

Under certain circumstances this may certainly be correct, since everyone has a right to free development, but in the event of a pandemic it should be self-evident that the individual does his best to protect the community and thus himself as effectively as possible.Protecting the community means maintaining the local economy, not overloading the health care system, strengthening the weak in a society. And yet there are not a few in Germany for whom these reasons for self-protection are insufficient.

어떤 상황에서는 누구나 자유로울 권리가 있기 때문에 맞는 얘기일 수 있지만 전염병이 발생한 경우, 개인이 사회를 보호하고 따라서 자신을 가능한 한 효과적으로 보호하기 위해 최선을 다해야 하는 것은 자명합니다. 지역 사회와 지역 경제를 유지하는 것을 의미하고 의료 제도를 과부하시키지 않고, 사회의 약자를 보호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그래도 독일은 이러한 자기 보호의 이유가 부족한 사람은 적지 않습니다.

They invoke the individual right not to have to wear a mask. When the state and its supervisory authorities take action against this and warn unintentional fellow citizens, then there will be public protests.

그들은 마스크를 착용할 필요가 없다는 개인의 권리를 행사합니다. 국가와 그 감독 당국이 행동을 따르지 않은 시민에 대해 경고할 때 항의도 있습니다

Strange things then happen. General left wing anti-vaccination opponents meet right-wing radical conspiracy theorists, troubled angry citizens with intimidated grandmas, old hippies with new-mystics.

이후에 이상한 일이 발생합니다. 일반 좌파 예방 접종 반대자들은 우익 급진적 음모 이론가들과 만나고, 겁에 질린 할머니와 화난 시민들이, 새로운 신비주의자자와 늙은 히피족이 만납니다.

All people who somehow find their reason to take part in such a demonstration, without a mask and without any distance. While in normal times these groups of citizens would go far out of the way, now they fill the squares of the German Republic together, side by side. You can only rub your eyes over it. It would be as if the extreme right wing and the extreme left wing in Korea were united against that of the Government-prescribed corona measures would address. Unthinkable.

마스크 없이 거리두기 없이 집회에 참여할 이유를 어떻게든 찾는 모든 사람들. 평상시에는 이러한 시민 집단이 멀리 나가지만 이제는 독일 공화국 광장을 나란히 채웁니다. 당신은 놀라서 눈을 비비는 것만 가능합니다. 한국의 극우파와 극좌파가 정부가 정한 코로나 대책에 대항하여 연합한 듯합니다. 상상할 수 없습니다.

A Corona Warning app was developed in Germany with a lot of pride and pathos for expensive money, which should take into account the strict data protection in Germany. The app was downloaded by a large number of citizens, which was good news. However, it was practically not used by anyone, because in the event of an infection you should enter your own status, which was rarely done. So, if the federal government relied on the participation of the population, it was bitterly disappointed.

코로나 경고 응용 프로그램은 독일에서 개발된 것으로, 엄격한 데이터 보호를 고려해야 합니다. 이 응용 프로그램은 많은 시민들에 의해 다운로드 되었고 매우 좋은 소식이었습니다. 그러나 감염이 발생한 경우 자신의 상태를 입력할 필요가 있기 때문에 실제로는 아무도 사용하지 않았고 거의 이루어지지 않았습니다. 따라서 연방 정부가 국민의 참여에 의존하고 있다면, 몹시 실망스러운 수준이었습니다.

What also drastically reduces the reaction speed in Germany in the case of Corona is the federalism of 16 countries within Germany. The individual state governments tend to interpret the scientific findings differently and implement them in different political actions.

코로나의 경우 독일에서 반응 속도를 크게 감소시키는 것은 독일 내 16개국의 연방주의입니다. 개별 주정부는 과학적 발견을 다르게 해석하고 다른 정치적 행동으로 실행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However, since the resolutions that differ from this are communicated throughout Germany and not just in the individual federal states, this leads to great confusion within the population.

다른 해결방식으로 개별 연방 국가뿐만 아니라 독일 전역에 알려지고 있기 때문에 사람들 속에서 큰 혼란을 초래합니다.

There is unrest and instability. And unrest, in turn, leads to hesitant behavior on the part of those in power. This creates a vicious circle of waiting and solutions in small steps.

그속에서 불안과 불안정이 있습니다. 그리고 불안은 권력을 가진 사람들의 주저하는 행동으로 이어집니다. 이것은 작은 단계에서 기다림과 해결의 악순환을 만듭니다.

The situation is comparable with the famous picture of the frogs in the hot pot. If you throw frogs into boiling water, they reflexively jump out in shock. But if you put them in a pot with cold water and then slowly turn up the temperature, you will notice that it is getting hotter and hotter, but they will miss the moment of escape, because before they dare, they will already be cooked.

현 상황은 잘 알려진 냄비 속의 개구리 이야기와 비슷합니다. 개구리를 끓는 물에 던지면 반사적으로 충격을 받아 튀어 나옵니다. 그러나 찬물이 담긴 냄비에 넣고 서서히 온도를 올리면 점점 뜨거워지는 것을 느낄 수 있지만 도피의 순간을 놓칠 것입니다. 왜냐하면 피하기 전에 이미 조리되기 때문입니다.

In Germany, for months there has been a discussion about what would be the least painful fight against a pandemic for the electorate, while the number of infections is skyrocketing and the health system is being driven to the brink of collapse.

독일에서는 몇 달 동안 유권자들이 전염병에 맞서 가장 고통스럽지 않은 싸움이 무엇인지에 대한 논의가 있었지만 감염 건수는 급증하고 의료 시스템은 붕괴 직전까지 몰아 가고 있습니다.

It doesn't help that the German government has passed by far the largest aid package to mitigate the economic consequences.

독일 정부가 경제적 결과를 완화하기 위해 지금까지 가장 큰 원조 패키지를 통과시킨 것은 도움이 되지 않습니다.

It seems particularly grotesque that Germany has a female chancellor (she is a scientist herself) who has been warning against the pandemic development for months with excellent reasons. The individual country representatives make their own regional policy. The saying that a fish always starts to stink from the head does not apply in this case. As one of the few exceptions, well noted.

독일이 타당한 이유를 가지고 몇 달 동안 대유행 발병에 대해 경고해온 여성 총리 (그녀는 과학자 자신)가 있다는 것은 특이합니다. 개별 국가 대표는 자체 지역 정책을 만듭니다. 이 경우 물고기가 항상 머리에서 냄새가 나기 시작한다는 말은 (윗물이 맑아야 아랫물도 맑다) 적용되지 않습니다. 몇 가지 예외 중 하나로서 잘 언급되었습니다.

What does the comparison between Germany and Korea tells us? What lessons can we learn from this? We learn from this that systems do not work well automatically, but always situation-related.

독일과 한국을 비교하면 무엇을 알 수 있을까요? 이것에서 우리는 어떤 교훈을 배울 수 있습니까? 우리는 시스템이 자동으로 잘 작동하지 않지만 항상 상황과 관련이 있음을 배웁니다.

While in Germany everything is designed to discuss every point transparently and deeply, to involve everyone and to make federal decisions, on the other hand countries that are programmed in permanent disaster mode are simply better able to take tough measures without long hesitation without no exceptions.

독일에서는 모든 사항을 투명하고 깊이있게 논의하고 모든 사람을 참여시키고 연방 결정을 내리도록 설계되었지만, 반면에 영구 재해 모드로 프로그래밍된 국가는 예외없이 오래 주저하지 않고 어려운 조치를 취할 수 있습니다.

Who do not ask long before something is done, in which private data protection does not play a major role and personal rights are subordinate to the community. But the whole thing also has a reverse conclusion. Think about it.

중요한 규칙 하에서는 개인데이터 보호보다, 개인의 자유보다 커뮤니티를 위해야한다는 것을 누가 실행하기 전에 논의를 할까요. 그러나 전반적으로는 반대의 결론도 있습니다. 생각해보십시오.

글ㅣ헨드릭 황, 칼럼니스트
번역ㅣ박지순 발행인

<필자 소개>
남아프리카공화국에서 태어나 독일에서 성장한 뒤, 이탈리아에서 패션 브랜딩 전문가로 일했다. 이후 한국에 정착해 연세대 의류환경 방문교수를 거쳐 현재 중견기업의 마케팅 디렉터로 일하고 있다. 여러 산업분야에서 다양한 기업들 대상의 브랜드&마케팅 컨설팅과 크로스 컬쳐 트레이닝 경험을 갖고있다. 지난 20여 년 동안 한국 및 한국문화에 꾸준한 관심을 갖고 관련 경험과 네트워크를 쌓아오고 있다.

저작권자 ⓒ 머스트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