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들이 실무 역량을 갖춘 인재를 선호하고, 수시 채용과 블라인드 채용이 늘어남에 따라 학벌이 채용 평가에 미치는 영향이 낮아진 것으로 나타났다.
구인구직 매칭 플랫폼 사람인(www.saramin.co.kr, 대표 김용환)이 기업 290개사를 대상으로 ‘학벌이 채용 평가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한 결과, 42.8%가 ‘영향이 있다’고 답했다. 2020년 조사(53.5%) 보다 10.7%p 하락한 수치다.
다만, 대기업(66%)은 중소기업(38.3%)에 비해 학벌이 평가에 영향을 미치는 비율이 27.7%p 높았다.
실제로 과거에 비해 좋은 학벌이 채용 평가에 영향을 미치는 부분에 차이가 있는지에 대해서도 ‘줄어들고 있다’는 답변이 49%로 ‘늘어나고 있다’는 응답(11%)의 5배가량 됐다. 40%는 ‘비슷하다’고 응답했다.
학벌이 채용 평가에 영향이 없다는 이유는 단연 ‘업무 능력과 큰 연관이 없어서’(76.5%, 복수응답)가 1위였다. 이밖에 ‘학벌 좋은 직원은 과한 대우를 원하거나 조기 퇴사 등을 많이 해서’(28.9%), ‘기존 채용 시 만족도가 낮아서’(7.8%), ‘기존 직원들에게 위화감을 줄 수 있어서’(6%) 등이 있었다.
반면, 학벌이 채용 평가에 영향을 미친다고 답한 기업들은 그 이유로 ‘학벌에 따른 역량 차이가 있어서’(66.1%, 복수응답)를 가장 많이 꼽았다. 다음으로 ‘지원자의 노력에 대한 인정 차원에서’(38.7%), ‘객관성이 있는 채용 조건이어서’(27.4%), ‘활용 가능한 인맥이 많아서’(12.9%), ‘기존에 채용 시 만족도가 높아서’(12.1%) 등의 순이었다.
이들 기업이 선호하는 학벌은 ‘서울대 등 서울소재 상위 10위권 대학’(51.6%, 복수응답)이 가장 많았으며, ‘서울소재 4년제 대학’(50%)이 바로 뒤를 이었다. 계속해서 ‘지방거점 국립대학’(38.7%), ‘카이스트 등 명문 특수대학’(9.7%) 등의 순이었다.
그렇다면, 입사 후에도 좋은 학벌이 상위 고과나 고위임원 승진 등, 개인의 성취에 영향이 있을까?
26.2%가 학벌이 직원 개인의 성취에 영향을 미친다고 밝혔다.
좋은 학벌이 영향을 미치는 부분은 ‘주요 부서, 프로젝트 등 배치’(46.1%, 복수응답)를 첫 번째로 꼽았다. 다음으로 ‘임원 등 고위직 승진에 유리’(36.8%), ‘관리자, 고위 임원들의 관심을 받음’(35.5%), ‘동창, 명문학교 출신 직원간 인맥 형성’(25%), ‘비슷한 성과에도 좋은 인사고과를 받음’(15.8%) 등을 들었다.
반면, 학벌이 직장내 개인의 성취와 연관이 없다고 밝힌 응답자들(214명)은 그 이유로 ‘업무 능력과 학벌은 별개 문제여서’(72%, 복수응답)를 가장 많이 선택했다. 이밖에 ‘성과 위주로 공정하게 평가하고 있어서’(42.5%), ‘자만하거나 융화가 안 되는 등 악영향이 있어서’(10.7%), ‘좋은 학벌 직원이 적어 파벌 등이 없어서’(5.6%) 등이 있었다.
한편, 전체 기업들은 좋은 학벌의 직원으로 인한 부작용으로 근속기간이 짧고 금방 이직(49%, 복수응답), ‘역량에 비해 과대평가’(37.6%), 과도한 처우 요구’(37.2%), ‘학벌이 좋지 않은 직원에게 위화감 조성’(12.8%), ‘동문, 명문 출신끼리 파벌을 형성’(9.7%) 등을 들었다.
저작권자 ⓒ 머스트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