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채용 시장에서 직무 역량만큼이나 조직문화와의 적합성, 즉 '팀핏(Team Fit)'이 중요한 평가 요소로 부상하고 있는 가운데, 사람인(143240, 대표 황현순)이 이러한 시대적 변화에 발맞춰 조직문화 적합도까지 종합적으로 판단하는 새로운 인적성검사 ‘Culture F.I.T(컬처핏)’을 선보인다고 21일 밝혔다.

'Culture F.I.T' 검사는 개인의 역량과 직무적합성뿐 아니라 조직 구성원들이 공유하는 가치 및 행동양식과 지원자의 성향 및 역량이 얼마나 조화로운지를 파악하는 데 중점을 뒀다. 이는 지원자의 빠른 조직 적응과 실질적인 성과 창출을 담보하도록 하기 위함으로, 기존 인적성검사의 범위를 한 차원 확장한 것이다.

사람인은 조직심리학 및 통계학 전문가와 자체 개발 노하우를 결합하여 Culture F.I.T 검사를 과학적으로 설계했다. 특히, 조직문화 연구의 세계적 권위자인 로버트 퀸(Robert E. Quinn)의 ‘경쟁가치모형’과 관계주의적인 아시아 문화권 채용에 최적화된 ‘헥사코(HEXACO)’ 심리 모델을 기반으로 개발되어 신뢰도를 높였다.


기업 맞춤형 진단 및 다각적 활용 가능

Culture F.I.T 검사의 가장 큰 특징은 개별 기업의 니즈에 따라 입체적인 검증이 가능하다는 점이다. 기업은 ▲성장성과형 ▲관리체계형 ▲새로운 시도형 ▲관계협력형 등 네 가지 조직문화적 특성 유형을 선택할 수 있으며, 이에 맞춰 필요한 인재 유형을 매치해 핵심 역량을 도출하게 된다. 검사 문항 역시 기업이 선택한 조직문화적 특성 유형에 따라 달라지도록 커스터마이징이 가능하다.

또한, 문화, 역량, 인성, 직무능력, 조직 부적응 요소를 통합 진단하여 인재 적합도를 다방면으로 판별하며, 강제선택형식과 응답 일치도 검증 등을 통해 응답 왜곡을 최소화하고 답변의 신뢰성을 극대화했다.

검사 결과 리포트도 효용성을 높여 개발되었다. 리포트는 조직문화 유형에 따라 최적화된 형태로 제공되어 응시자를 직관적으로 판단할 수 있으며, 상세 결과에 더해 조직 비교 프로파일 및 면접 가이드까지 제공되어 채용, 조직 진단, 육성 등 다양한 HR 실무에 바로 활용할 수 있다. 응시 결과는 빅데이터로 누적되어 향후 업계 및 직군 단위의 객관적 비교 분석 자료로도 활용될 예정이다.

사람인 컨설팅사업부문장 이상돈 상무는 “Culture F.I.T 검사는 개인 역량뿐 아니라 개별 기업, 부서 등 조직과 결이 맞는 인재를 찾아주는 체계적이고 과학적인 검사도구”라며, “다양한 직무와 상황에 형식적인 검사를 적용하며 효과를 체감하지 못했던 기업들도 Culture F.I.T 검사의 통합 진단 설계와 커스터마이징 기능을 통해 인적성검사의 효용성을 느낄 수 있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한편, 사람인은 Culture F.I.T 검사 출시를 기념해 이용 기업을 대상으로 특별 프로모션을 진행할 계획이다.